소설 '나쁜 하나님' 소개의 말

오늘의 한국교회는 정치적 타락, 종교적 부패, 신학의 허약함으로 인해 파산 직전에 몰려 있습니다. 이는 명백히 신학, 신앙, 교회의 위기라고 볼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위기 너머에 치유를 위한 열망 또한 숨 쉬고 있음을 부정해선 안 될 것입니다.

치유와 소생의 가능성을 경험하기 위해 오늘의 한국교회를 지배한 기복과 왜곡된 순수의 풍경을 동시에 전망하는 문학적 시도는 어쩌면 필연이라고 생각됩니다. 또한 이러한 시도는 종교개혁 500주년을 맞이한 교회의 본령을 회복하는 사상적, 신학적 갱신 의지와 흐름을 같이한다고 확신합니다. <뉴스앤조이> 연재 소설 '나쁜 하나님'은 한국교회의 궤멸적 징후를 극사실적으로 해부하고 그 너머의 희망, 치유, 소망의 가능성을 함께 이야기해 보고자 합니다. - 소설가 주원규

36

그 다음 주. 한 주 설교를 불참한 것에 대한 민규를 향해 가해지는 따가운 시선은 느낄 수 없었다. 강대상 위에 올라온 민규는 지난번과 같은 마음보다 더 편한 마음으로 설교에 임했다. 하지만 그건 편한 게 아니었다. 느슨해진 마음이라고 보는 게 더 솔직한 표현일 것이다.

이번에도 아브라함 설교였다. 한 주가 빠진, 그 이전 주에 나눴던 설교와 본문이 똑같았다. 내용 역시 크게 다르지 않았다. 다를 수가 없다. 번제단으로 집약되는 아브라함의 극기를 넘어선, 이른바 초극하는 주제가 반복되어 나온 것이다.

하지만 초극의 믿음을 강조하는 민규의 머릿속은 텅 비어 있었다. 믿음에 대한 강조를 귀담아듣는 교인들 역시 많지 않았다. 일주일에 한 번 교회 예배당에 나와 가족의 평화와 무사 안녕, 그도 아님 형식적인 위로를 기다리는 교인들의 고개는 대부분 반쯤 숙여져 있었다.

하지만 설교 막바지에 가자 달라졌다. 예정된 수순처럼 한 사람의 안광이 민규의 영혼을 사로잡았다. 우측 장의자 제일 첫 번째 자리에 홀로 앉은 한영호 장로. 그의 바라봄이었다.

한영호는 민규가 설교를 시작하면서부터 끝날 때까지 눈빛, 자세, 어느 것 하나 흐트러짐이 없었다. 오직 일관되게 강대상 위에 올라서 있는 설교자의 모습에 시선이 박혔다. 처음 설교를 시작할 때 민규는 그런 한영호 장로의 시선을 부러 피하려 했다. 자신을 향해 기대하는 열망의 시선이 너무나 강했던 탓이다. 하지만 한 장로의 시선을 피하자 민규가 숨을 돌릴 곳은 없었다. 설교하는 내내 강한 자력처럼 자신을 감시와 질책의 시선으로 바라보는 눈동자들이 따라붙었기 때문이다. 그 눈동자들의 주인은 김인철 장로와 그 무리들이었다. 그들은 예배당 우측 중간 자리에 자리 잡고 앉아 민규를 바라보고 있었다. 그들 중엔 좀처럼 예배 시간에 참석하지 않는다는 김인철도 함께했다. 고압적으로 민규를 몰아붙이던 신애원 원장 남궁숙애도 눈에 뜨였다. 그들은 민규의 설교가 이어지면 이어질수록 알 수 없는 분노와 노기 띤 시선으로 민규를 올려다보았다. 그래서일까. 민규의 시선은 다시 한 장로에게로 돌아설 수밖에 없었다.

설명할 수 없지만 민규에게 한영호의 바라봄은 일종의 위로였다. 자신의 머릿속이 텅 비어 버린 설교에도 일관되게 반응하고 있다는 존재가 줄 수 있는 위로. 동시에 민규에게 그 위로는 용기였다. 자신이 일주일 동안 내내 괴로워하던, 밤잠을 설칠 수밖에 없는 고통을 안겨 주던 부정할 수 없는 문제를 향한 실마리를 한영호가 가져다줄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용기.

물론 처음부터 그 용기는 해명되기 어려웠다. 한영호가 율주제일교회에서 확보한 신앙적 위치, 세속적으로 표현해 지분을 갖고 있다 해서 김정은이 보여 준, 그리고 신애원에서 일어난 입에 담기 힘든 파렴치한 일들에 대해 그 내막을 알고 있으리란 보장은 어디에도 없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민규는 한영호가 자신에게 보여 준 단 하나의 신뢰를 의지해야 했다. 자신을 향한 적극적인 움직임, 자신의 논문 전체를 외울 정도의 열의, 그 열의는 다르게 말하면 현재 율주제일교회가 처한 상황에 대한 암담함을 개혁하고픈 의지가 담긴 것으로 봐도 좋았다.

그 용기가 민규를 행동하게 했다. 예배가 끝난 뒤 민규는 그대로 자신의 집무실에 들어가지 않고 한영호의 뒤를 따랐다. 교회 입구에서 인사를 끝낸 뒤에 이뤄진 민규의 일방적인 만남 요청이었다.

- 장로님.

차 앞에서 멈춰 선 한영호가 민규를 쳐다봤다. 민규는 심각한 눈빛이었고, 한영호는 이런 민규의 초조감을 이해하고 있다는 듯한 눈빛이었다. 이해한다는 눈빛, 무슨 말을 해도 들어줄 수 있다는 용의로 가득한 눈빛을 바라본 민규가 더욱 용기를 얻어 말을 이었다.

- 잠깐 드릴 말씀이 있습니다.

- 지난주, 주일과 관련된 이야기를 하고 싶으신 건가요?

- 그보다는 다른 문제입니다.

- 아니, 다른 문제가 아닐 겁니다.

일러스트레이터 주원태

한영호의 손은 여전히 차 문손잡이를 붙잡고 있었다. 민규가 한 걸음 더 한영호에게 다가갔다. 한영호가 말을 이었다.

- 지난 주일, 김정은 선생을 만나지 않았습니까?

- 알고… 계신 겁니까?

- 그리고 … 신애원을 찾아가신 거죠.

그 순간 민규가 입을 다물었다. 한영호가 말을 이었다.

- 3층, 교회와 신애원을 연결하는 구름다리, 철문이 열린 것을 보았습니다.

- 그럼 장로님…

- 말씀하세요.

누군가 '담임목사님!'하며 민규를 부르고 있었다. 교회 주차장과 예배당 입구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계단이 그처럼 높아 보일 수 없었다. 교회 입구에서 남궁숙애가 민규를 손짓하며 부르고 있었다. 하지만 민규는 그녀의 부름에 반응하지 않았다. 그리고 물었다.

- 사실입니까?

'사실'. 그 낱말을 꺼내는 순간, 민규의 눈빛이 심하게 흔들렸다. 한영호에게 더 이상 구체적인 설명을 하고 싶지 않았다. 그냥 그 말 한마디가 모든 걸 설명해줄거라 믿었다. '사실', 그랬다. 그 일주일 동안 일어난 일을 그 이상도, 이하로도 설명할 수 없는 것이다. 민규가 거듭 물었다.

- 말씀해 주세요. 사실입니까.

- 예. 맞아요.

굳게 다문 입술을 연 한영호가 그 역시 짧고 굵게 답했다. 그리고 말을 이었다.

- 그 이상의 것도 있습니다만… 김 선생이 말을 아꼈을 겁니다.

- 장로님. 대체 어떻게 이런 일이… 있을 수 있습니까?

- 있을 수 있죠.

- 예?

- 이곳이 교회이기 때문입니다.

(계속)

*'나쁜 하나님'은 주 3일(월, 수, 금) 업데이트됩니다.

저작권자 © 뉴스앤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