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의 침몰 지점에 물질주의와 성장주의의 탐욕이 있었습니다. 탐욕은 우리 사회의 절대 암초입니다. 이 암초에 부딪혀 용산 참사 피해자들이, 강정 주민들이, 밀양 할머니와 할아버지들이, 쌍용자동차 해고 노동자들이, 송파 세 모녀가, 그리고 세월호에 탄 어린 학생들과 시민들이 고통의 바닷속으로 침몰했습니다. 고통의 바다에서 죽어 가는 사람들이 그리스도인들에게 묻습니다. 한국교회는 구조선인가 암초인가?

안타깝게도 대부분의 한국교회는 구조선이기보다는 거대한 방주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방주 안의 그리스도교 신자들은 개인적, 내적 안전에만 골몰할 뿐 방주 밖 세상 사람들의 고통에는 관심이 없습니다. "죄 많은 이 세상은 내 집 아니네"를 노래하며 '세상의 구원'이 아닌 '세상으로부터의 구원'을 욕망합니다. 이웃의 고통에 대한 공감과 참여 대신 자기가 고통받지 않음을 기뻐하며 감사합니다.

교회가 방주이기라도 하면 그나마 다행입니다. 천상적 복락만이 아니라 지상적 안락도 욕망하고, 심지어 세월호 희생자 유가족의 눈물을 닦아 주기보다는 대통령의 눈물을 닦아 주는 데 더 열심인 일부 대형 교회 목사들과 신자들을 보면 교회는 우리 사회의 암초인 것만 같습니다. 탐욕의 체제와 동맹하고, 세상과 불통하면서도 세상보다 더 세속적이고, 고통의 감수성이 마비되어 버린 방주 교회, 암초 교회에는 희망이 없습니다.

희망은 자신들만을 구하는 방주나 남을 침몰시키는 암초 같은 대형 교회, 제도 교회가 아니라 고통의 바다에 뛰어들어 자신과 이웃을 함께 구하는 구명보트 같은 대안적 작은 교회에 있습니다. 세월호 이후 작은교회가 나아갈 항로에는 자발적 가난, 세상과의 소통, 고통의 감수성이 있습니다.

첫째, 작은 교회는 스스로 가난해지기 위해 애쓰는 교회입니다.

부자의 탐욕만큼 가난한 자의 탐욕도 파괴적입니다. 양팔 저울의 한쪽 접시에 대형 교회의 탐욕을 올려놓고 다른 쪽 접시에 대형 교회가 되려는 작은 교회의 탐욕을 올려놓으면 저울은 정확히 수평을 이룰 것입니다. 우리가 말하는 작은 교회는 단지 규모가 작고 소유가 적은 '조직'이 아니라 커지고 부유해지는 것을 거부하는 '방식'입니다. 작은 교회의 존재 방식은 '확대'가 아닌 '확산'입니다. 작은 교회가 추구하는 대안적 생태계의 가치와 원리는 '더 많은 소유'가 아닌 '더 많은 존재'입니다. 작은 교회는 가난하지만, 아니 가난하기에 자유롭고 풍요롭습니다.

둘째, 작은 교회는 세상을 향해 열린 교회입니다.

한국교회는 세상과 불통합니다. 세상 사람들에게 독백처럼 협박처럼 "예수 천당 불신 지옥"을 외칩니다. 교회의 윤리적 기준도 세상의 윤리적 기준에 훨씬 못 미칩니다. 그러니 한국의 종교들 중 그리스도교의 사회적 신뢰도가 제일 낮습니다. 부끄럽게도 오늘의 한국교회는 세상과 담 쌓는 종교적 게토가 되어 있습니다. 작은 교회의 그리스도인들은 예수께서 그들에게 부탁하신 것은 교회가 아니라 세상의 빛과 소금이 되라는 것이었음을 잊지 않습니다. 초는 자기를 태워 빛을 내고 소금은 스스로를 녹여 맛을 냅니다. 작은교회는 하느님께서 그러셨던 것처럼 세상을 향해 자신을 열고 세상을 위해 자신을 내어 줍니다.

셋째, 작은 교회는 고통받는 이들과 함께 아파하는 교회입니다.

사는 것은 아파하는 것입니다. 오직 죽은 자만이 통증을 느끼지 않습니다. 가난하고 무력한 이웃의 고통을 느끼지 못하는 교회는 아무리 크고 강하더라도 죽은 교회입니다. 살아 있는 교회는 우는 이들과 함께 울고 아파하는 이들과 함께 아파합니다. 작은 교회의 그리스도인들은 몸으로 압니다. 고통받는 이들과 그들이 한 몸이라는 것을, 그리고 "아픈 곳이 몸의 중심"이듯 아파하는 이들이 교회와 세상의 중심이라는 것을. 하느님께서 고통받는 이들 가운데 함께 계시기에, 그들과 함께 울고 아파하고 행동하는 것이 작은 교회가 드리는 가장 경건한 기도요 예배입니다.

지금 광화문 광장에서는 방인성 목사님이 세월호 유가족이 원하는 특별법 제정을 요구하며 40일 장기 단식을 하고 있습니다. 그는 단식 중에 거리에서 환갑을 맞았고 물과 소금만 섭취하며 추석을 보냈습니다. 방인성 목사님은 오는 10월 11일에 있을 '작은 교회 박람회' 준비위원회 공동위원장이기도 합니다. 위원장이 거리에서 단식을 하고 있으니 얼마 전에는 준비위원들이 그를 찾아가 회의를 했습니다. 몸은 야위었지만 정신은 더 깊어지고 예리해진 그와 함께 거리에서 세월호 이후 작은 교회의 항로를 이야기할 때 우리는 문득 깨달았습니다. 가난해지는 교회, 세상을 향해 열린 교회, 함께 아파하는 교회가 그 순간 우리의 모임 속에 실현되고 있음을. 이 가을, 작은 교회의 출항지는 광화문 광장입니다. 

정경일 / 새길기독사회문화원 원장

 

저작권자 © 뉴스앤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